본문 바로가기
너와 나의 지식창고

시스테인.시스틴

by 머리하는토끼 2022. 10. 16.
반응형

시스테인이란?

 

황 원자를 함유한 아미노산의 하나. 흰색의 고체로, 공기 속의 산소에 의하여 쉽게 산화되어 시스틴이됨.

화학식 HSCH2CH(NH2)COOH.

시스테인 : 농도 5.5%알칼리도 5.5수소이온농도 9.1웨이브 효과 5815 후의 팽윤도 38.4%

시스테인(cysteine)은 많은 단백질들에 소량으로나마 자연적으로로 존재하는황 함유 아미노산이다.

시스테인은 20개의 기본 아미노산중에서 유일하게 티올기(-SH)를 포함하고 있음.

시스테인은 종종 산화환원반응에 관여한다. 그리고 효소의 촉매작용을 돕는다

또한 항산화제인 글루타티온에도 들어가있다.

N-아세틸-시스테인(NAC)는 아세틸기가 시스테인의 질소원자에 붙은형태로 식품보조제로 팔리고있으며

시스테인은 시스틴이후에 이름이 지어졌다.

 

시스테인의 구분

 

시스테인은  시스테인의 분자구조에따라 L-시스테인과 DL-시스테인으로 나눌수있다.

일반적으로 시스테인이라면  L-시스테인을 이야기한다.

자연적인 상태의 시스테인은  L-시스테인인데  D-시스테인은  L-시스테인을 가공한것으로

용해도가  L-시스테인보다 높아서 모발 잔여율이 낮다. 때문에 모발손상이 적을수있다.

 L-시스테인 DL-시스테인에서 L과D는 분자의 방향에 따라 구별되는데 D는 L과 서로 대칭인 

상태로 같은 시스테인이지만 분자의 방향에따라 특성이 달라진다.

쉽게 이해하자면 시스테인이라면 L-시스테인을 말하는거고  L-시스테인을 가공해서 

모발손상을 적게하려고 개선한게  DL-시스테인이다.

시스테인의 산화는 다른 티올기와의 황결합을 생성하며, 산화반응이 더 진행되면 술폰산의 염을 생성한다.

티올기는 이온화되었을때 더 활동적이된다.

​그리고 단백질의 시스틴잔기의 산해리상수PKA는 중성ph7에 근접한다.

산화환원에 관여할수있는 이 능력때문에 시스테인은 항산화능력을 갖고있게된다.

 

 

시스틴이란?

 

시스틴은 그리스어의 방광을 뜻하는 kustis에서 유래. 시스틴이 신장결석으로부터 최초로 분리되었기 때문임.

최초로 발견된 아미노산. D-시스틴은 많은 단백질의 구성성분이며 특히 케라틴에 많이 존재.

또한 대사기능에 장애가 있는 사람의 요에서 많이 검출되며(시스틴요증), 요결석의 주성분이다. 

시스테인이 산화되어 시스테인 2분자가 2분자결합을 한 것으로 각종 환원시약에 의해 쉽게 시스테인으로 환원한다.

시스틴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2개의 폴리펩티드사슬을 연결하는 기능(2황화 결합)을 갖는다.

티올기는 시스테인이 산화되어 시스틴을 형성할때 산화 환원 반응을 일으키는데

시스틴은 두개의 시스테인이 황결합을 통해 결합한것을 말하고 이 반응은 가역적.

따라서 이 시스틴의 환원은 두개의 시스테인을 형성.

시스틴의 황결합은 많은 단백질의 구조를 경정하는데 중요하다.

시스틴결합

 원자가 들어 있는 아미노산의 하나로시스테인  분자가 각각 황에 결합된 수소를 잃고  사이에 결합이 형성된 구조의 화합물무색의 고체로시스테인을 산화하여 얻는다환원하면 쉽게 시스테인이 되므로 생체 내에서 산화 환원 작용에 중요한 구실을 한다화학식은 C6H12N2O4S2.

 

 

시스틴: 두개의 시스테인이 연결되어 하나가 된 형태.

             시스테인+시스테인=시스틴.

시스테인에는 수소가 들어있지만 두개의 시스테인이 하나로 연결될 때 수소가 분해되어 모발안에서는 수소가 없는 시스 틴 상태가 됨.

이 시스틴에 수소를 더해 시스테인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시스틴 결합은 잘려져 열려진 상태가 됨.

두개의 시스테인으로부터 수소를 빼버리면 시스틴이 되고 시스틴 결합은 다시 연결, 닫혀있는 상태가 됨.

​시스틴은 아미노산중에 유일하게 티올기를 포함하고있는만큼 그 성질을 분류할때에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 점이 있다.

​티올기를 함유하고 있는 잔기는 엄밀히 말하면 극성을 띄고있지만, 그 극성의 강도는 하이드록시기등과 비교했을때 현저히 약하다. 따라서 문서에따라 티올기의 극성유무에 초점을 맞춰 극성분자로 분류하는 문서가 있는가하면, 실제 반응에서 무극성에 가까운 반응을 보이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무극성 아미노산으로 분류하기도한다.

 

 

직펌약의 특성.

직펌약은 보통 아세틸시스테인 가온2욕식펌제가대부분.

가온을 안하고 콜드2욕식처럼 일정온도까지 가온을 하지않으면 컬이 잘 형성되지않음.

직펌제의 재부분성분은 비슷.

콜드2욕식시스테인이나 치오로 직펌을 하면 모발손상이 높음.

연화.유화작업후 펌을 하는 환원제는 거의 치오글리콜산을 주원료로한게 99%임.

 

반응형

'너와 나의 지식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색후 가려움을 느끼는이유.  (1) 2022.10.18
뜨거운물로 머리감으면 안좋을까?  (0) 2022.10.17
생두 3가지 구매  (1) 2022.10.15
영종도 C27 DOWN TOWN  (2) 2022.10.14
모발의 구성물질  (0) 2022.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