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롬중화제 vs. 과산화수소 중화제 – 펌 과정에서의 역할과 차이점
펌 시술에서 중요한 과정 중 하나가 바로 중화 단계다.
중화제는 펌 약제로 인해 변형된 모발의 구조를 안정화하는 역할을 하며,
주로 브롬중화제(Bromate Neutralizer)와 과산화수소 중화제(Hydrogen Peroxide Neutralizer) 두 가지가 사용된다.
이번 글에서는 두 중화제의 특징, 장단점, 차이점, 그리고 왜 구분해서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브롬중화제 Bromate Neutralizer란?
브롬중화제는 브롬산나트륨(Sodium Bromate)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화제다.
이 제품은 중성 pH를 유지하며, 산성 환경에서 산화 작용을 활발히 한다.
펌 과정에서 끊어진 이황화 결합(Disulfide Bond)을 새로운 위치에서 다시 형성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특징
- 중성 pH로 모발 손상이 적음
- 산성 환경에서 산화 반응이 활발하게 진행됨
- 비교적 안정적인 산화제로, 급격한 발열이 없음
- 펌 시술 후 모발의 탄력을 유지하는 데 효과적
과산화수소 중화제 Hydrogen Peroxide Neutralizer란?
과산화수소 중화제는 보통 "과수"라고 줄여 부르며,
과산화수소(H₂O₂, Hydrogen Peroxide)를 주요 성분으로 한다.
이 제품은 멜라닌 색소를 파괴하는 탈색 작용이 있으며, 농도에 따라 산소 발생량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6% 농도가 사용되며, 컬러 시술과 병행될 때는 농도를 조절해 사용한다.
특징
- 강한 산화력으로 모발 내 화학 반응을 촉진
- 멜라닌 색소를 파괴하여 탈색 효과를 유발
- 농도가 높을수록 발색이 강하지만, 모발 손상 위험 증가
- 산소 발생이 많아 시술 중 발열 가능성이 있음
브롬중화제와 과산화수소 중화제의 차이점
구분 | 브롬중화제(Bromate) | 과산화수소 중화제(H₂O₂) |
pH 수준 | 중성 (Neutral) | 약산성~산성 (Acidic) |
산화 방식 | 산성 환경에서 반응 | 강한 산화 작용 |
모발 손상 | 상대적으로 적음 | 탈색·손상 가능성 높음 |
주요 성분 | 브롬산나트륨 | 과산화수소 |
사용 용도 | 일반 펌 중화제 | 염색, 탈색, 펌 중화제 |
특징 | 부드러운 중화 과정 | 산소 발생량이 많고 발열 가능 |
브롬중화제와 과산화수소 중화제를 왜 구분해서 사용해야 할까?
1. 모발 손상 방지
- 과산화수소는 멜라닌 색소를 파괴하는 기능이 있어 탈색 효과를 유발한다.
- 모발이 약한 경우, 과산화수소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손상이 심해질 수 있다.
- 반면, 브롬중화제는 상대적으로 순한 성분으로 모발의 손상을 최소화한다.
2. 펌과 염색 시 적절한 선택
- 브롬중화제는 컬이 유지되는 펌 시술에 적합하다.
- 과산화수소는 주로 탈색, 염색과 병행할 때 사용되며 컬 유지력이 상대적으로 낮다.
- 컬러 펌을 원할 경우, 적절한 중화제 선택이 필요하다.
3. 시술 중 발열 및 두피 자극 방지
- 과산화수소는 산소를 다량 방출하며, 시술 중 발열이 일어날 수 있다.
- 두피가 예민한 고객에게는 브롬중화제가 더 안전한 선택이 될 수 있다.
브롬중화제와 과산화수소 중화제의 장단점
중화제 종류 | 장점 | 단점 |
브롬중화제 | 모발 손상이 적고 컬 유지력이 좋음 | 과산화수소보다 산화력이 약함 |
과산화수소 중화제 | 강한 산화력으로 탈색·발색 효과 우수 | 모발 손상이 심하고 발열 가능 |
결론
브롬중화제와 과산화수소 중화제는 각각의 특징과 용도가 다르므로,
펌이나 염색 시술을 할 때 적절한 중화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브롬중화제는 컬을 오래 유지하고 싶을 때 적합하며,
과산화수소 중화제는 탈색이나 염색이 필요한 경우 효과적이다.
모발 상태와 원하는 스타일에 따라 올바른 중화제를 선택해 건강한 펌 시술을 진행하자.
태그: 펌중화제 브롬중화제 과산화수소중화제 모발관리 헤어시술 펌손상방지 탈색 염색 컬유지력 헤어스타일
'너와 나의 지식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세플라스틱의 체내 이동과 건강 위험: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2) | 2025.03.01 |
---|---|
난치성 부비동염의 새로운 치료법: 듀피젠트(Dupixent)와 면역치료의 희망 (13) | 2025.02.28 |
물처럼 마시면 안 되는 차 vs. 마셔도 되는 차 (8) | 2025.02.28 |
2025. 1월 다이소 인기상품 5가지. (23) | 2025.02.27 |
2025 초등학교 입학 전 꼭 준비해야 할 8가지 사항 + 정부 지원 정책 총정리 (10) | 2025.02.27 |